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타트업이란?
- Lean Startup
- StartUp
- 스티븐 블랭크
- 마케터 프로그램
- 유효한 학습
- 스타트업랩
- 린 스타트업
- 스타트업 참고사이트
- 스타트업
- 만들기 측정 학습 순환모델
- 스타트업 소개
- 글로벌창업센터
- 스타트업 오픈
- 마케터 효율
- 스타트업 tip
- 스타트업 MVP
- 스타트업 꿀팁
- 스타트업 테스트
- 스타트업 사이트
- 마케터 업무
- 스타트업 Top
- 스타트업 생존
- 린스타트업
- 에릭 리스
- Korean Tour Guide
- MVP모델
- A/B Test
- 린스타트업이란?
- 린 스타트업 바이블
- Today
- Total
목록스타트업 (10)
[Build Up!]
스타트업, 정말 많다. 첫 포스팅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정말 많은 스타트업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정말 많이 사라지기도 한다. 스타일 쉐어, 미미박스, 배달의 민족 ... 이제는 스타트업이라기 보다는 성공한 기업으로 스타트업의 신화를 쓰고 있는 기업들도 많다. 그런 기업들에 대한 포스팅을 해도 할 말이 정말 많지만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첫 글에는 나에게 조금 특별한 이야기를 써보고자 한다. 오늘 소개할 스타트업은 Korean Tour Guide. (http://koreantourguide.com/) 아마 대부분 처음 들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대표가 누구고 어떤 철학을 가졌으며, 어떤 연혁을 지녔고 미래에 얼마나 성장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아쉽게도 찾을 수 없겠다. 순전히 내 경험에 의존한 ..
스타트업에서 서비스를 다 만들었다면 이제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해야 한다. 이때 다양한 테스트 기기가 필요하다. 특히 앱의 경우에는 화면 크기, OS 버전, 운영체제 종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해봐야 한다. 그러나 초기 스타트업이 테스트베드를 갖추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런데 고맙게도 무료로 테스트베드부터 제품 촬영, 사운드 파일 등의 에셋 제공, 오프라인 행사 공간 대여까지 지원해주는 곳들이 있다. 1. 상암 DMC S-Plex Center (http://www.splexcenter.com) 상암 DMC S-Plex Center는 기존의 서울앱창업센터가 확장 이전해 자리를 잡은 곳이다. 2016년 5월에 개소한 곳이라 깔끔하고 최신 기기 등 인프라가 잘 갖..
오늘은 A/B 테스트라는 것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자는 에릭 리스의 저서 에서 이 개념을 처음 접했지만 비단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국한되는 프로세스가 아니라 그로스 해킹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쓰이는 방법론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 A/B 테스트란, ‘A와 B라는 방식을 모두 시험해보고 좋은 결과가 나오는 쪽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그로스 해킹 성장하기 위해 해킹을 해서라도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용어로 2010년 션 엘리스(Sean Ellis)의 블로그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중요한 지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많은 유저를 확보하는 전략적 마케팅 기법’을 의미한다고 했다. 핵심은 ‘중요한 지표를 파악, 분석, 최적화하..
오늘의 포스팅은 이 시대를 살아가며 이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자신 한몸 불사르는 마케터들에게 바치는 글입니다... ; 업무를 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고 도움이 될만한 사이트들을 조금이나마 추려보았습니다.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키워드 검색 빈도 조회 (네이버 광고 시스템, 구글 애드워즈) 네이버 광고 시스템의 키워드 도구와 구글 애드워즈의 키워드 플래너에서 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얼마나 많이 검색하는지 볼 수 있다. 콘텐츠 제목을 정하는 일이나 앱마켓 검색 최적화 등 검색 노출 결과를 신경 써야 하는 일을 할때면 언제나 유용하다. 원래는 광고주를 위한 서비스이지만 광고 집행을 하지 않고 키워드 도구만 사용해도 무방하다. 2. 트랙킹이 되는 URL 쇼터 (비틀리, 구글 URL 빌더) 비틀리로 만..
스타트업랩startuplab.co.kr은 초기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단체(엑셀러레이터)인 프라이머primer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이다. *엑셀러레이터란? : 최근에는 스타트업 기업을 발굴하여 초기단계부터 성장을 돕는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엑셀러레이터, 창업기획사라는 새로운 영역이 생겨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초기단계의 좋은 스타트업을 발굴하고,이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여 스케일-업(Scale-up,)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비즈니스 모델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검증되면 그 다음부터는 홍보, 영업, 프로모션, 자금조달 등 각종 경영자원들을 투입해서 본격적으로 비즈니스를 키워 나가는 것이다. 프라이머의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엔텐십’ 선발이 이곳을 통해 진행되는데, 엔텐십에 지원한 스타트업은 ..
오늘은 MVP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릭 리스는 스티브 블랭크의 고객개발모델을 린(lean)하게 실행하기 위해 그 핵심으로 ‘만들기-측정-학습 순환 모델(Build, Measure, Learn feedback-loop)’을 제시했다. 어떠한 사업 아이디어가 있다면 이것을 완벽히 만들어서 시장에 내놓는 게 아니라, 일단 조금이라도 만들어서 고객에게 보여주고, 고객 반응을 측정하여 배우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소규모 일괄작업을 중요시하는 린 생산의 개념, 좋은 것을 빠르고 낭비 없게 만드는 애자일개발의 개념, 일단 만들어서 프로토타입을 개선하라는 디자인 사고의 개념들을 추려서 만든 것인데 이 최소기능을 가진 제품을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 제품)라고 한다..
앞서 린스타트업에 대해 다룬 포스팅에서 린스타트업은 실험과 검증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은 린스타트업에서 소개하는 가이드라인 중 기본 뼈대라고 할 수 있는 만들기-측정-학습 순환모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의 저자 에릭 리스는 말한다. “린스타트업 방법은 수많은 가정을 바탕으로 복잡한 계획을 만들고 그것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만들기-측정-학습(Build, Measure, Learn feedback-loop)’이라는 피드백 순환을 통해 끊임없이 조정해 나가는 방식을 알려준다. 이 과정을 통해 현재 진행해 나가는 사업 방향에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현재 진행하는 방식 그대로를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오늘은 ‘린(Lean) 스타트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린 스타트업은 이제는 스타트업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이론 중 하나로 그 범위가 한 포스팅에 다루기엔 광대하고 중요한 이슈가 많기 때문에 여럿에 나누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린 스타트업에서는 스타트업을 ‘가설로 만들어진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면서 이것이 수익을 낼 수 있는지 검증해 나가는 임시조직’이라 규정하며, 그러한 가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가이드 해주는 방법론을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이라 말한다. 사진1. 고객개발 방법론의 스티븐 게리 블랭크 교수 누가 린스타트업을 개발했는가? 에 대한 질문으로는 두 인물을 거론할 수 있겠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스티브 블랭크 교수는 린 스타트업의..
창업 열풍이 일면서 스타트업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는 포화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사이트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선택적인 취식이 필요할 때이다. 오늘은 스타트업 입문자에게 유용한 대표적인 스타트업 사이트 5곳과 나름 주관적인 평점을 매겨 보았다. 1. K-Startup (https://www.k-startup.go.kr) (★★★★★) K-Start Up은 창업에 관심이 있거나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잇는 사람이라면 필수적으로 알아 두면 좋은 사이트로 각종 창업교육프로그램은 물론 시설/공간, 멘토링프로그램, 창업지원프로그램 등을 소개하고 정부지원사업까지 확인 가능하다. 자금과 멘토 관련해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수시로 업데이트 되는 공지를 체크해서 각종 행사와 지원사업에 참여해보도록..
'설립한 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 위키백과에 기재되어 있는 스타트업의 정의다. 불과 몇년 사이 창업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고 창업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개선되면서 '스타트업'이라는 단어는 그 인지도가 생소할 만큼 저조하지는 않게 되었지만 사람마다 정의가 다르고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 모호하다. 필자는 스타트업을 운영해본 경험은 고사하고 스타트업에서의 직장경험도 없지만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것을 목표의 일환으로 삼고있기에 어느 정도 관심을 두고 있었던 입장으로서 여전히 스타트업은 사람들에게 두 갈래 방향으로 인식되는 것 같다. 1. 규모가 작고 불확실한 미래가능성을 가진 말 그대로 불안정한 소기업 2. 첨단기술을 통해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 소규모의 알짜배기 기업 물론 이 두가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