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케터 업무
- 린스타트업
- 스티븐 블랭크
- 마케터 프로그램
- 린 스타트업 바이블
- 스타트업 MVP
- 스타트업 참고사이트
- 유효한 학습
- 글로벌창업센터
- 스타트업
- 스타트업 소개
- 스타트업 테스트
- 린스타트업이란?
- 만들기 측정 학습 순환모델
- Korean Tour Guide
- 스타트업 꿀팁
- 스타트업 생존
- Lean Startup
- 스타트업 Top
- 스타트업 사이트
- 마케터 효율
- 스타트업이란?
- 스타트업 tip
- 스타트업 오픈
- A/B Test
- MVP모델
- StartUp
- 린 스타트업
- 에릭 리스
- 스타트업랩
- Today
- Total
목록린스타트업 (3)
[Build Up!]
오늘은 A/B 테스트라는 것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자는 에릭 리스의 저서 에서 이 개념을 처음 접했지만 비단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국한되는 프로세스가 아니라 그로스 해킹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쓰이는 방법론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 A/B 테스트란, ‘A와 B라는 방식을 모두 시험해보고 좋은 결과가 나오는 쪽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그로스 해킹 성장하기 위해 해킹을 해서라도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용어로 2010년 션 엘리스(Sean Ellis)의 블로그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중요한 지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많은 유저를 확보하는 전략적 마케팅 기법’을 의미한다고 했다. 핵심은 ‘중요한 지표를 파악, 분석, 최적화하..
앞서 린스타트업에 대해 다룬 포스팅에서 린스타트업은 실험과 검증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은 린스타트업에서 소개하는 가이드라인 중 기본 뼈대라고 할 수 있는 만들기-측정-학습 순환모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의 저자 에릭 리스는 말한다. “린스타트업 방법은 수많은 가정을 바탕으로 복잡한 계획을 만들고 그것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만들기-측정-학습(Build, Measure, Learn feedback-loop)’이라는 피드백 순환을 통해 끊임없이 조정해 나가는 방식을 알려준다. 이 과정을 통해 현재 진행해 나가는 사업 방향에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현재 진행하는 방식 그대로를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오늘은 ‘린(Lean) 스타트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린 스타트업은 이제는 스타트업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이론 중 하나로 그 범위가 한 포스팅에 다루기엔 광대하고 중요한 이슈가 많기 때문에 여럿에 나누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린 스타트업에서는 스타트업을 ‘가설로 만들어진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면서 이것이 수익을 낼 수 있는지 검증해 나가는 임시조직’이라 규정하며, 그러한 가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가이드 해주는 방법론을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이라 말한다. 사진1. 고객개발 방법론의 스티븐 게리 블랭크 교수 누가 린스타트업을 개발했는가? 에 대한 질문으로는 두 인물을 거론할 수 있겠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스티브 블랭크 교수는 린 스타트업의..